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80년전 충남도청은 어떻게 대전으로 왔나

충남도청 이전(1) 공주-대전 희비교차속 새 역사의 장을 열다

2012.09.24(월) 14:06:43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https://www.ctia.kr/)

24일 오전 11시 대전시 중구 선화동에 자리한 충남도청에서는 의미 있는 한 행사가 치러지고 있었다. 이날은 충남도청이 내포 신도시로의 이전을 100일 앞둔 날이다. 도청 정문 옆에서 지난 60년간 충남도와 함께 희로애락을 같이 했던 배롱나무의 이식 행사가 벌어진 것. 4.5m 높이에 가지 둘레가 28m에 달하는 이 배롱나무는 도청의 전통을 계승하는 상징 수로 6.25 전쟁 후 심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뿌리돌림을 해 두었던 배롱나무는 1시간여에 걸쳐 분들기 등의 작업을 통해 순조롭게 자동차에 실려졌다. 이를 지켜본 도청 직원들은 대전에서 자란 배롱나무가 내포 신도시에서도 잘 이식되어 전통을 계승하는 의미를 살려주길 기원했다.

충남도는 이 행사에 앞서 권희태 정무부지사의 도청이전 사업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었고 이어 이준우 충남도의회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시민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리는 현수막 제막식을 가졌다.
 

내포신도시로 옮겨갈 배롱나무.

▲내포신도시로 옮겨갈 배롱나무.
 

배롱나무 이식작업 모습

▲배롱나무 이식작업 모습


“80년 동안 따뜻이 품어주신 대전시민의 情 마음깊이 간직하겠습니다. 2013년부터 내포신도시에서 충남이 새롭게 출발합니다.”

대전시민들에게 작별을 고하는 현수막 제막식이 열렸다.

▲대전시민들에게 작별을 고하는 현수막 제막식이 열렸다.

 

현수막에 쓰인 내용대로 앞으로 일주일 후인 10월 1일이 되면 충남도청이 공주로부터 대전으로 이전한 지 만 80년이 되는 날이다. 강산이 8번이나 바뀔만한 세월이 흐른 지금, 충남도는 지난 발자취를 뒤로하고 새로운 100년을 시작하기 위한 발걸음을 서두르고 있다.

충남의 패러다임을 바꾼 역사적 사건

사실 대전의 역사는 충남도청의 이전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충남도청이전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함으로써, 대전은 행정을 포함한 모든 충청인의 삶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단순히 도청건물이 옮겨온 것이 아니라 충남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꾼 일대 역사적인 사건이었던 것이다. 이제 100일 후면 충남도청은 대전의 시대를 마감하고 내포시대를 새로이 연다. 이 역시 단순히 도청 건물의 이전행위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충남의 역사를 만들어 나가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의미하는 일이다.

이러한 중대한 변화의 고비에서 80년 전 숱한 어려움 가운데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옮겨왔던 그 역사를 재정리해 보는 것도 하나의 의미 있는 일일 터이다. 비록 그때의 일들을 직접 겪었던 사람을 찾을 수는 없었지만, 각종 기록물을 토대로 하고 간접증언들을 더해 지금부터 그 역사의 현장으로 들어가 보려 한다.

충남도청의 현재 모습

▲충남도청의 현재 모습


도청의 이전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29년. 제5대 야마나시 한조(山梨半造) 총독이 재임하던 시절이었다. 충남도지사는 친일파로 이름난 신석린(申錫麟)이었다. 야마나시는 당시 총리였던 다나카 기이치(田中義)의 천거로 조선 총독에 임명되었는데, 다나카는 그의 일본육군사관학교 동기생이었다. 어쨌든 그는 군 재임 시 시베리아 원정군이 탈취한 황금을 횡령한 사건 등 다양한 부정혐의에 연루되면서 돈을 좋아하는 ‘배금장군(拜金將軍)’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는데, 실질적인 그의 임무는 다나카의 정치자금 조달이었다.

80년전 충남도청은 어떻게 대전으로 왔나 사진

 

자금을 끌어모으는 데 혈안이 된 그에게 접근한 것은 대전지역 일인(日人) 실업인들이다. 1929년 3월 그들은 야마나시 총독을 대전으로 초대했다. 충남도를 시찰한다는 명목으로 공주, 논산을 거쳐 대전을 방문한 야마나시 총독을 대전의 실업인들은 열렬하고도 따뜻하게 환영했다. 이 자리에서 그들은 정치자금 10만 원을 모아 전달하면서 은밀하게 도청의 이전을 건의했다.

대전 日人들 로비…야마나시 총독 비밀리 확정

그러나 채 석 달도 되지 않아 1928년 중국에서 일어난 장쭤린(張作霖) 폭살 사건의 여파로 다나카 내각이 총사퇴하면서 야마나시 총독의 입지는 급격히 위축되었다. 그는 이 같은 불안한 정국에서도 충남도청을 대전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것을 하나의 총독부 시책으로 확정지었다. 그리고나서 그는 곧바로 부산 미두취인소(米豆取引所) 설립 허가를 둘러싸고 5만 원을 받은 ‘독직(瀆職)사건’에 연루되어 사임하였다.

일본으로 되돌아간 야마나시는 재판을 받았는데, 충남도청 유치를 위해 움직이던 대전 사람들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져 파란을 일으켰다. 비록 재판에서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석방되었지만, 이는 공주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야마나시 총독의 후임으로 온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총독은 신석린 충남지사를 중추원 참의로 임명하고 강원도 참여관(현재의 부지사)인 유진순(劉鎭淳)을 충남지사로 발령냈다. 사이토는 이미 1919년부터 8년간 야마나시보다 먼저 조선 총독을 역임한 바 있었다. 그런 그가 다시 조선으로 부임해온 것이다.

그러나 사이토는 그해 12월 총독부 예산을 세우면서 충남도청 이전 예산 39만 5000원을 책정해 일반인들의 예상을 깨어 버렸다. 비록 실정한 전임자의 결정이라 하더라도 총독부의 위신을 세우기 위해서는 추진할 수밖에 없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은 당분간 비밀에 부쳐졌다.

1930년 1월 사이토 총독은 기자회견을 통해 그 해 시책 방향을 설명한 뒤 충남도청의 대전 이전을 공식 발표했다. 이전 계획이 공개되자 대전과 공주의 반응은 극과 극을 달렸다. 대전의 읍민들은 환호했지만 공주읍민들은 커다란 충격에 빠졌다. 대전의 땅값은 두 세배 크게 뛰었지만 공주의 땅값은 폭락하기 시작했다.

공주지역 상점철시 등 강경 저지투쟁

당장 공주의 반발이 표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공주에 거주하는 조선인과 일인 거류민들이 손잡고 '반대투쟁위원회'를 결성하는 등 긴장감이 더해갔다. 이러한 가운데, 충남도청의 이전에 관한 의안이 1931년 3월 일본 제국회의(의회 하원)에 비밀리에 상정되었다. 그러나 이를 알아챈 공주의 반대투위에서는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이를 저지하기 위한 대책을 세웠다. 대책위원회의 핵심간부 2명이 일본으로 몰래 건너가 제국회의의 통과를 저지키로 한 것이다.

형사들의 미행을 따돌리고 동경에 도착한 이들은 충남도청 이전 예산서를 복사해 대의사(代議士)들을 찾아다니며 예산안의 삭감을 설득했다. 이러한 설득작업에 따른 것인지는 몰라도 그해 3월 9일 열린 제59차 제국회의에서 충남도청 이전 안은 예산이 전액 삭감됨으로써 부결되고 말았다.

이러한 소식은 순식간에 조선으로 전해졌고 대전과 공주에서는 희비의 쌍곡선이 엇갈렸다. 대전에서는 의외의 사태에 놀라 땅값이 순식간에 폭락하고 대전토지주식회사를 중심으로 도청부지 등을 마련하려던 계획은 중단되고 말았다.

반면 공주에서는 축제의 분위기 속에 유흥가가 살아나고 땅값이 다시 회복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기쁨도 오래가지 못했다. 사이토 총독은 귀족원(상원)에서 예산을 다시 회복시키기로 하고 일본 귀족출신 대전거류민 대표를 일본으로 보내 귀족들을 설득하도록 하는 한편, 충남도청 이전의 당위성을 담은 친서를 와카츠키 레이지로(若槻禮次郞) 수상에게 전달했다. 결국, 제국회의가 열린 지 한 달도 채 안 된 4월 귀족원의 제59차 본회의에서 충남도청 이전 예산안이 다시 부활함으로써 하원의 의결이 뒤집혔다.

엎치락뒤치락하자 공주에서는 모든 상점과 영업소의 철시를 결의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등 강경하게 대치했다. 이러한 가운데 1931년 사이토가 물러가고 육군 대신이며 현직 육군 대장인 우카키 가즈시게(宇垣一成)가 7월 4일 제7대 조선 총독으로 부임해왔다. 그 해 9월에 유진순 지사가 해임되고 대신 일본인인 오카사키 데스로가 부임했다. 이후 일제는 한국인 도지사를 임명하지 않았다.

금강철교 건설로 공주읍민 반대투쟁 무마

신임 오카사키 지사는 계속되는 공주 읍민들의 분노를 무마시키기 위해 금강철교 건설과 공주교육도시 육성을 약속했다. 그러나 연일 도청이전 반대 시위가 벌어지고 급기야는 공주경찰서 방화미수사건이 터지기도 했다. 하지만 대세는 이미 이전으로 굳어져 있었다.

공주 반발의 무마책으로 제시된 금강대교의 건설이 1932년 1월 시작되었고 2년여의 공사 끝에 드디어 1933년 11월 개통식을 가졌다. 도청을 빼앗긴 대신에 얻은 이 다리를 공주 사람들은 ‘한(恨)의 다리’라 불렀다. 1896년(고종33)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에서 분리되어 충청남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던 공주는 36년 만인 1932년 도청 소재지의 지위를 잃고 군 소재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한편, 도청이전이 확정되면서 충남도는 부지를 매입하고 7월 15일 기공식을 가진 뒤 공사에 돌입했다. 이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돼 1932년 9월 새 도청건물이 완공되었다. 9월부터 도청은 공주로부터 짐을 옮기기 시작해 10월 1일까지 이전을 완료하고 당일 우카키 총독이 참석한 가운데, 도청사 앞에서 도청이전식을 성대히 열었다. 대전이 충청의 중심지로 발돋움하는 등 새로운 역사의 장(章)을 연 충남도청의 대전이전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우희창 미디어센터장]
 
 

<참고자료>
김나아 “일제하 충남도청의 대전 이전과 지역사회의 동향” 충남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1
변평섭 “실록 충남반세기” 1983
정내수 “대전의 도시발전” <대전 100년사> 2002년
정운현 “친일파는 살아있다” 2012
지수걸 “도청의 설립과 이전” <충청남도지> 2010
지수걸 “일제하 공주지역 유지집단의 도청이전 반대운동” 1996년
충청남도 “도전사료소장품목록”
충청남도역사문화원 “충청남도역사박물관” 2006년1997년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