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시군뉴스

보도자료(11월23일) 핫이슈

2004-11-23 | 공보전산담당관실


동        정

 

  조규선 서산시장은 24일 오전 10시 30분 서부평생학습관에서 열리는 ‘시군순회예절교육’에 참석할 예정이며 이어 오후 3시 시청 중 회의실에서 열리는 ‘지역특화발전특구용역결과보고회‘에 참석 결과보고를 받고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당부할 예정.

 

<서산지역 ‘사랑의 김장김치 담가주기’ 릴레이 이어져>

 

 김장철을 앞두고 서산지역 일원에서 주부모임 등을 중심으로 ‘사랑의 김장김치 담가주기‘ 릴레이 행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서산지역 봉사단체 소속 주부 40여명은 23일 시 종합사회복지관 뒤편 공터에서 연말 연시를 맞아 불우 이웃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랑의 김장김치 담가주기’행사를 가졌다.<관련 사진 있음 >

 

 이날 회원들은 전날 소금물에 미리 저려 둔 배추 900포기를 다듬고 고춧가루와 액젓 등을 넣어 만든 양념을 배추 속에 버무려 넣은 뒤 20㎏ 짜리 포장용기에 담았다.

 

 복지관 관계자는 “연말연시를 맞아 어려운 환경에 놓인 분들의 걱정을 덜어 드리기 위해 이번 행사를 갖게 됐다”며“김장김치는 이번 주 내로 무의탁 노인과 소년소녀 가장 세대 등 100여 세대에게 전달해 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지난 19일 서산시 새마을 부녀회원 60여명도 배추 2000포기로 김치를 담가 300세대에 전달한 것을 비롯해 오는 24일 동문동 새마을회를 시작으로 다음달 말까지 각 읍.면.동별 ‘사랑의 김장김치 담가주기 행사’가 예정되어 있는 등 서산지역을 중심으로 ‘사랑의 김장김치 담가주기‘ 행사가 이어질 전망이다.


                                                                      문의 : 복지1담당(Tel 660-2561)


<미      담>


 서산시 동문동에서 가축인공수정소를 운영하는 문혁범씨(46?사진 )는 최근 홀로 살아가고 있는 독거 노인들에게 전달해 달라며 수의옷 2벌( 200만원 상당)을 시에 맡겨왔다.


<서산농기센터, 농기계 순회수리 지난해보다 21% 증가>

 

 서산시가 영농불편 해소를 위해 농촌 지역을 방문해 실시한 농기계 순회수리 봉사활동이 농가로부터 큰 인기를 모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산시농업기술센터(소장 이석순)는 지난 3월부터 관내 120개 농촌 마을을 대상으로 2004농기계 순회수리 봉사활동을 펼쳐 지난해 1천932대 보다 21% 늘어난 2천336대의 농기계를 수리했다고 23일 밝혔다. <사진 있음>

 

 수리 기종별로는 경운기가 778대(33%)로 가장 많았고▲예초기 553대(24%)▲동력분무기 291대(13%)▲양수기 267대(11%)▲이앙기 193대(8.2%)▲관리기 176대( 7.5%)▲기타 78대( 3.3%)순으로 집계됐다.

 

 또 올해의 경우에는 예초기, 동력분무기 등 소형 농기계의 수리 비율이 예년에 비해 10% 정도 높게 나타나 시간적 경제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이동 순회 수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민 김모(40.대산읍 운산리)씨는 "막상 농기계가 고장나면 부속품 구하기도 힘들고 별도로 대리점을 이용해야 하는 등 시간적?경제적 부담 때문에 매년 출장 수리 팀을 이용해 오고 있다“며 ”고장원인과 기계관리 요령도 자세히 알 수 있어 더욱 신뢰가 간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종종 농기계 1대를 수리하는 데만 3-4시간이 걸리는 등 힘든 경우도 있지만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농민들에게 보탬을 줄 수 있는 일을 한다는 점이 큰 보람"이라며 ”내년에도 현장에서 익힌 사례중심으로 더욱 알찬 교육 프로그램으로 농기계 수리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가을 수확기에 사용했던 농기계를 바로 점검.정비하여 보관하면 기계수명이 30-40%이상 늘 릴 수 있는 만큼 농한기 농기계 보관관리에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문의 : 농업기술센터 교육경영담당(660-2734)

 


 

공보전산담당관실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