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시군뉴스

서산시종합사회복지관 새 단장, 이용객 큰 호응 핫이슈

2010-03-08 | 종합사회복지관


 

서산시종합사회복지관 새 단장, 이용객 큰 호응




서산시종합사회복지관(관장 박종성)이 새해를 맞아 편의시설을 대폭 보강 운영에 들어가면서 이용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에 단장한 종합사회복지관은 장애인화장실을 포함한 화장실과 휴게실 등 편의시설을 보강하고 미끄럼방지시설과 안전보호대 등을 확대 설치해 이용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중점을 뒀다.




특히, 이번에 새로 문을 연 ‘자녀 돌봄방’은 주부수강생들로부터 인기가 높다.




종합사회복지관 1층에 35㎡규모로 마련된 ‘자녀 돌봄방’에는 요즘 하루평균 70 ~ 100명 정도의 어린이와 부모들로 북적인다.




TV와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 시청각시설은 물론 다양한 장난감과 그림책 등을 활용해 30개월 ~ 9세까지 어린 자녀의 감성과 지성을 고루 발달시키는 놀이학습을 진행하다보니 사람이 넘쳐난다는 복지관측의 설명.




여기에 유치원교사자격증과 사회복지사자격증을 소지한 관리교사와 주1 ~ 2회씩 자원봉사자를 통해 운영되는 주산, 풍선아트, 스포츠댄스, 민요, 미술치료, 도예, 종이접기 프로그램은 인기의 비결이다.




‘자녀 돌봄방’은 월 ~ 금요일 오전 10시 ~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인근 저소득층 자녀 중 방과 후 교육이 필요한 초등학교 1 ~ 2학년에도 문이 열려 있다.




읍내동 사는 주부 이모(36)씨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강의를 들을 때 마다 친정엄마께 아이를 맡기고 오다보니 불편한 점이 많았는데, ‘자녀 돌봄방’이 생기면서 큰 걱정 하나를 덜게 됐다.”며 만족감을 표했다.




박종성 관장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복지관 인근에 믿을만한 아동보호시설이 없어 주 이용객인 주부들의 고충이 많은 것으로 파악 돼 직접 ‘자녀 돌봄방’을 운영하게 됐다.”며 “돌봄방이 생겼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추가신청이나 복수신청을 원하는 주부들이 크게 늘고 있어 행복한 고민거리(?)가 생겼다.”고 말했다.

 

서산시종합사회복지관 새 단장, 이용객 큰 호응




서산시종합사회복지관(관장 박종성)이 새해를 맞아 편의시설을 대폭 보강 운영에 들어가면서 이용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에 단장한 종합사회복지관은 장애인화장실을 포함한 화장실과 휴게실 등 편의시설을 보강하고 미끄럼방지시설과 안전보호대 등을 확대 설치해 이용자의 안전사고 예방에 중점을 뒀다.




특히, 이번에 새로 문을 연 ‘자녀 돌봄방’은 주부수강생들로부터 인기가 높다.




종합사회복지관 1층에 35㎡규모로 마련된 ‘자녀 돌봄방’에는 요즘 하루평균 70 ~ 100명 정도의 어린이와 부모들로 북적인다.




TV와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 시청각시설은 물론 다양한 장난감과 그림책 등을 활용해 30개월 ~ 9세까지 어린 자녀의 감성과 지성을 고루 발달시키는 놀이학습을 진행하다보니 사람이 넘쳐난다는 복지관측의 설명.




여기에 유치원교사자격증과 사회복지사자격증을 소지한 관리교사와 주1 ~ 2회씩 자원봉사자를 통해 운영되는 주산, 풍선아트, 스포츠댄스, 민요, 미술치료, 도예, 종이접기 프로그램은 인기의 비결이다.




‘자녀 돌봄방’은 월 ~ 금요일 오전 10시 ~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인근 저소득층 자녀 중 방과 후 교육이 필요한 초등학교 1 ~ 2학년에도 문이 열려 있다.




읍내동 사는 주부 이모(36)씨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강의를 들을 때 마다 친정엄마께 아이를 맡기고 오다보니 불편한 점이 많았는데, ‘자녀 돌봄방’이 생기면서 큰 걱정 하나를 덜게 됐다.”며 만족감을 표했다.




박종성 관장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복지관 인근에 믿을만한 아동보호시설이 없어 주 이용객인 주부들의 고충이 많은 것으로 파악 돼 직접 ‘자녀 돌봄방’을 운영하게 됐다.”며 “돌봄방이 생겼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추가신청이나 복수신청을 원하는 주부들이 크게 늘고 있어 행복한 고민거리(?)가 생겼다.”고 말했다.

원코드 -->

 

종합사회복지관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