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스승의 날’ 발원교(發源校)는 강경고등학교

스승 존중과 교육 발전의 토대는 충청남도

충남 논산시 강경읍 남교리 48

2024.05.12(일) 16:24:47 | 잔잔한 미소 (이메일주소:ih2oo@hanmail.net
               	ih2oo@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24년 5월 15일은 43회 스승의 날입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스승의 날은 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여 교원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지정된 날입니다. 

이 스승의 날의 발원지가 다른 곳 아닌 우리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고등학교임을 알아야 합니다.
 

▲스승의  날 발원교 강경고등학교 
 
스승의 날의 유래는 19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해에 충남 논산시 강경여자고등학교(현 강경고등학교)의 청소년적십자(RCY) 단원들이 세계 적십자의 날(5월 8일)을 맞아 자신의 스승을 찾아가 감사의 마음을 전한 것이 시초랍니다.

그 후 1965년부터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로 되었고 1973년에 청탁금지법으로 스승의 날이 없어졌다가 1982년 부활되어 지금에 이릅니다.

스승의 날 발원지인 강경고등학교에는 ‘스승의 날 기념탑’이 서 있습니다.
 
학교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스승의 날 기념탑, 이 작품의 작가 이관기 님의 작품 설명입니다.

 제일 위에 진리를 상징하는 구(球)가 있고 그 아래로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교를 상징하는 세 개의 지주가 있으며, 지주의 상단에는 책을 상징하는 모형이 꽃처럼 피어나도록 조형되어 있다. 팔각 바탕에는 적십자 표장이 표시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이 작품에서는 제자를 한없이 사랑하는 선생님의 마음과 그 스승을 따르려는 제자의 공경심이 표현되어 있으며, 스승의 큰 가르침이 꽃처럼 피어나면서 진리 탐구가 실현되는 교육의 이상을 상징적으로 조형했다. 

 



▲강경고등학교 스승의 날 기념탑

 
▲강경고등학교 스승의 날 기념탑 작품 설명
 
스승의 날 제정 취지문도 기단부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인간의 정신적 인격을 갖추고 키워 주는 스승의 높고 거룩한 은혜를 기리어 받들며 청소년들이 평소에 소홀했던 선생님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불러 일으켜 따뜻한 애정과 깊은 신뢰로 선생과 학생의 올바른 인간관계를 회복하여 주인공들을 교육하는 숭고한 사명을 담당하는 선생님들의 노고를 바로 인식하고 존경하는 기풍을 길러 혼탁한 사회를 정화하는 윤리 운동에 도움이 되고자 이 ‘스승의 날’을 정한다. 

 


강경고등학교 바로 옆 강경여중에는 ‘스승기념관’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스승 존경의 여러 사례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강경여자중학교 스승기념관 
 
스승기념관은 스승의 가르침과 제자의 배움이 아름다운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스승의 날’의 발원지인 강경과 존사애제(尊師愛弟)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스승과 제자가 만들어 낸 위대하고 감동적인 이야기 속에서 스승의 은혜를 알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 봅니다. 그리고 제자로서 스승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실천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하여 생각해 봅시다.
 

▲스승기념관은? 
 
존사애제의 전통이 깃든 강경, 스승의 날의 발원지 강경, ‘스승의 은혜’ 노래, 아름다운 스승과 성장하는 제자 등 스승과 제자에 얽힌 이야기들이 전시되었습니다.
 

▲존사애제의 전통이 깃든 강경


▲아름다운 스승, 성장하는 제자 
 
전시관 안에는 선생님에 대한 올바른 제자의 마음과 자세를 일깨울 수 있는 내용들이 전시되어 있어서 스승 존경 풍토를 일깨우는 좋은 전시장이라 생각됩니다.

넓은 공간에 제35회 스승의 날 기념 ‘충남 스승 존경 포스터 공모전’ 입상작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스승 존경 포스터 
 
스승의 가르침을 받지 않은 사람은 없습니다. 스승의 은혜는 부모님 은혜 못지않게 큽니다. 스승 존경 풍토가 우리 충청남도에서 일어났고 그 중심지가 강경이라는 점도 새롭고 자랑스럽습니다. 스승의 날을 앞두고 스승을 길러내는 공주교육대학교를 찾아가 보았습니다.
 

▲공주교육대학교 

1938년 공주여자사범학교로 개교, 1951년 공주사범학교, 1962년 2년제 공주교육대학, 1982년 4년제 대학, 1993년 공주교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릅니다.

창조, 협동, 지성을 교훈으로 하여 국가와 인류 사회 발전에 필요한 심오한 이론과 응용 방법을 교수, 연구하고, 아울러 사표로서의 인격을 갖춘 유능한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출처 공주교육대학교 공식 블로그)
 

▲공주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정문을 들어서면 사제동행상이 연륜 깊은 은행나무 아래 서 있습니다. 두 학생과 함께 독서하는 선생님 모습입니다. 그야말로 사제동행 바로 그것입니다.
 

▲공주교육대학교 사제동행상 
 
공주교대에 있는 또 하나의 사제동행상입니다. 제자를 앞세우고 천천히 계단을 오르는 선생님의 모습이 정다워 보입니다.
 

▲공주교육대학교 사제동행상2 
 
공주대학교 사범대학은 1948년 공주사범대학으로 설립되어 70년 이상 우리나라 교육계의 동량들을 양성해 온 대학으로 현재 23개 학과에 118명 교수와 2500여 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전국 최대 규모 교사 양성의 요람입니다.

바른 인성과 교육 전문성을 겸비한 현장 밀착형 행복교육 리더 양성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지성과 덕성을 갖춘 우수 교사 및 교육전문가 양성뿐 아니라 세계교육을 선도할 글로벌 교육자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출처 사범대학장 인사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스승의 날을 맞아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후진 양성에 애쓰는 선생님들을 양성하는 두 곳, 공주교육대학교와 공주대학교 사범대학이 우리 충남 공주에 있음은 자랑스럽습니다.
또한, 스승 존경 풍토의 발원지가 바로 우리 충남의 강경이라는 점도 자랑스럽습니다.

교육이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설 수 있습니다.
 

▲스승의 은혜


강경고등학교
충남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 188
 
 

잔잔한 미소님의 다른 기사 보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잔잔한 미소님의 SNS]
  • 트위터 : https://twitter.com/#!/ih2oo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