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여행

선조대왕의 태실이 남겨져 있는 부여의 사찰 오덕사

2021.07.12(월) 11:12:46 | 혜영의 느린세상 (이메일주소:auntlee49@naver.com
               	auntlee49@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임금중 선조를 말할 때 세 가지의 키워드를 뽑으라면 임진왜란, 이순신, 광해군이 아닐까요. 임진왜란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생겼고 이에 분조를 하여 어쩔 수 없이 광해군을 세자로 임명했습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1

이순신 역시 탐탁지 않았지만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하면서 수군을 이끌게 했습니다. 선조가 임금이었지만 모든 것이 마음대로 되는 것은 많지가 않았습니다. 선조를 말할 때 임진왜란 외에도 많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 역시 백성들의 신망을 받기 위해 노력했던 군주이기도 하였습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2

태실비를 여러 곳 보았지만 사찰과 같은 공간에 자리한 곳은 처음 보게 된 곳이었습니다. 부여의 오덕사에는 선조의 태실비가 남겨져 있습니다. 선조는 선대왕인 명종이 후사 없이 죽으면서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3

오덕사라는 사찰보다 선조대왕 태실비로 더 알려진 곳입니다. 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재위 1567∼1608)의 태함(태를 묻는 돌로 만든 함)을 만든 후 이를 기념하기 위해 1570년에 세운 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세월이 지나면서 글씨가 많이 닳아 있어 영조 23년(1747)에 다시 세워 놓은 비석은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17호로 관리되고 있다고 합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4

오덕사에는 유명한 것은 보물 제1339호로 지정된 오덕사 괘불탱이 남겨져 있습니다. 괘불이라는 의미는 '걸개를 마련하여 매단 부처'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는데 오덕사 괘불탱은 꽃가지를 든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 사천왕 등이 함께 그려져 있다고 합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5

선조대왕 태실비를 보기 위해 걸어서 올라가 봅니다.  선조는 주자학을 장려하고 사림을 널리 등용했으며, 스스로 학문에 힘써 강연에서 이황·이이·성혼 등 대유학자들과 경사(經史)를 토론했던 군주였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그가 왕위에 올랐을 때 동인과 서인이 서로 나뉘어서 붕당 간의 권력 쟁탈이 심각해졌습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6

오덕사의 관음전에는 낮은 높이의 돌당간이 보인다. 선조대왕태실비는 바로 이곳의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7

태실비에 접근하기가 비교적 용이한 곳이었습니다. 대부분 산속의 풍수지리가 좋은 곳에 있어서 찾는 데에도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태실비 양쪽으로는 배롱나무가 심어져 있었습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8

태실비는 왕자가 태어나면 풍수지리가 좋은 곳에 태실을 묻기 위해 만든 공간과 비입니다. 선조는 1590년 황윤길(黃允吉)·김성일(金誠一)·허성(許筬) 등을 파견하여 일본의 동태를 파악하도록 했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동인과 서인의 정치적 대립으로 인해 일본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9

오덕리에 있기에 오덕사이기도 하지만 오덕리에 자리한 태실비의 형태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입니다. 앞면에는 ‘선조대왕태실’이라고 새겨 모셔 놓은 태의 주인공을 밝히고 있고, 뒷면에는 비를 세운 시기를 적어 놓았습니다.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10

선조대왕의태실이남겨져있는부여의사찰오덕사 11

대웅전 안에 있는 궤불탱을 보면 잠시 고개를 숙여 봅니다. 지금 보는 궤불탱은 보물 궤불탱은 아니지만 그 궤불탱을 연상하게끔 해주고 있습니다. 태어나서 태실비를 세운 선조는 주자학에 조예가 깊었고, 서화에도 뛰어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선조의 태실비는 부여에 있으며 능은 경기도 양주에 있는 목릉(穆陵)이며, 전(殿)은 영모전(永慕殿)입니다.
 

혜영의 느린세상님의 다른 기사 보기

[혜영의 느린세상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