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공주 천지인주조, 전세계에 팔리는 술을 만들어요

2015.08.31(월) 20:29:45 | 게임이론 (이메일주소:gamethory7@gmail.com
               	gamethory7@gmail.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한때 막걸리 열풍이 분 적이 있었는데요.

지금은 그 기세가 확 꺽인것 같습니다. 한류 열풍과 함께 막걸리도 전세계로 나가는 듯 했는데 지금은 막걸리는 잊혀진 느낌입니다. 막걸리는 보통 유통기간이 있기 때문에 전세계로 유통되는 데에 적합하지 않은 술이었습니다. 공주에 위치한 천지인 주조의 사장님과 이야기해보니 그 한계가 명확하더라구요. 위스키나 사케, 와인을 보면 시간이 지나도 보관만 잘하면 그 가치가 커지는 술들입니다.
 

공주에 있는 천지인주조 양조장

▲ 공주에 있는 천지인주조 양조장


이날 공사중이라서 그런지 이곳저곳이 조금 어수선했습니다. 이미 말하고 갔던 터라 사장님이 준비하고 계셨습니다.
 

천지인주조의 생산시설

▲ 천지인주조의 생산시설


공장이 상당히 큰편은 아니었지만 하루에 1400박스까지 생산해서 전국으로 나가기도 했다고 합니다. 지금은 700박스 정도를 생산한다고 합니다. 막걸리는 15개가 한 박스에 들어가고 벌떡주는 20개가 들어갑니다. 우리가 아는 그런 벌떡주는 아니구요. 덕이 있는 술을 만들기 위해 이름을 지었는데 입에서 입으로 옮겨지다보니 우리가 상상(?)하는 그런 술로 바뀐 것 같다네요.
 

다양한 실험을 통해 탄생하는 약주

▲ 다양한 실험을 통해 탄생하는 약주

천지인주조 사장님

▲ 천지인주조 사장님


하사관 출신으로 처음에는 주류 유통업을 하면서 술재료를 가지고 장난하는 제조업자들을 보면서 술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작한 막걸리 생산이 지금은 다양한 약주를 생산하는 것으로 규모가 커졌다고 합니다. 무려 25종이 넘는 술을 등록해 놓았는데 그 모두를 생산하고 있지는 않구요. 10종 내외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술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느껴지는 분이었습니다.
 

술에 대한 열정

▲ 술에 대한 열정


이날의 대화가 즐거웠던 것 같습니다.

많은 이야기가 오고 갔고 궁금증도 많이 풀렸습니다. 특히 최근에 개발하여 출시를 시작한 군밤 막걸리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었습니다.
 

술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술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한국의 술이며 전세계인이 좋아할 만 한 술을 만드는 것이 인생의 목표라고 말씀하시더군요. 사케가 전세계에 팔리며 위스키나 와인은 일찍이 전세계에서 인기가 있는 술로 자리잡은지 오래되었습니다. 아일랜드계 위스키나 버번등은 독특하긴 하지만 매니아층을 만들고 있고 약재가 들어가 있는 술로 예거마이스터 역시 유행이기도했지만 폭발적인 이기를 누린 바 있습니다.
 

기호식품이며 약이 되어야 되는 술

▲ 기호식품이며 약이 되어야 되는 술


술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눠볼 수 있었습니다.

술이란 기호식품이며 사람마다 맞는 술이 있으며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명확하다고 합니다. 술과 약재를 말하라면 밤을 새서라도 할 수 있을정도로 술술 나오더군요.
 

술은 잘 만들어야 합니다.

▲ 술은 잘 만들어야 합니다.


 

알코올 함량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는데요. 보통 몇도 몇도하는 방식의 술은 대중적인 술인 소주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고 우리 전통술은 위스키를 만드는 방식과 동일한 증류주입니다. 세균을 이용하여 만드는 막걸리나 동동주, 약주는 20도를 절대 넘을 수 없다고 합니다. 그럼 알콜 도수가 있는 고도주는 어떻게 만들까요? 알콜과 물의 끓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80도 정도까지만 올리면 알콜만 증류되어 연결된 다른 쪽으로 넘어가게 되는 겁니다. 이때 자연기화되는 물이 조금씩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다시 증류하게 되는데 이때 도수는 80도 가까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공주의 알밤주

▲ 공주의 알밤주


나라마다 그나라만의 술이 있습니다. 한국에도 수많은 술이 있었고 집안마다 특색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특색이 사라지고 대중적인 소주나 맥주가 그자리를 대신했습니다. 대기업이 생겨나기는 했지만 여전히 한국에서만 많이 팔리는 술이죠. 전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과 더 한국적인 술을 만드는 사람들의 노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게임이론님의 다른 기사 보기

[게임이론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